뉴스북
뉴스라인
AI뉴스
속보
브리핑
인기
영상

영동대로 지하 공사 현장 모습. (사진=홍연 기자)
 
최근 서울 강동구 대형 싱크홀 사고에 이어 마포구와 부산 사상구 등에서 싱크홀이 계속 발생하면서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습니다. 원인으로는 노후 하수관과 대규모 지하 굴착 사업이 꼽히는데요. 서울과 부산 같은 오래된 대도시는 노후 인프라와 지속적인 지하개발로 인해 싱크홀의 위험에 크게 노출된 상황이죠. 
 
2018년 지하안전관리 특별법 제정과 2021년 개정을 통해 지하굴착공사 시 안전평가 의무화가 이루어졌으나, 문제는 현재 사용 중인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의 한계점이 있다는 건데요. 서울 서대문구 싱크홀 발생 구간은 3개월 전 정기점검 시 공동이 발견되지 않았죠.
 
국토부와 지자체의 GPR 탐사 확대 대책만으로는 인명 피해를 일으키는 깊은 대형 싱크홀을 사전에 탐지하기는 어렵습니다. GPR 탐사는 사용하는 안테나 주파수에 따라 측정 깊이가 달라지며, 콘크리트나 아스팔트 포장도로에서는 투과 깊이가 현저히 감소합니다.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은 23일 "대형 굴착공사장 위주로 GPR 탐사를 강화하고 노후 하수관로 개량 예산을 획기적으로 늘려 땅 꺼짐 사고를 예방하겠다"고 밝혔는데요. 이러한 서울시의 대책은 분명 긍정적인 방향이지만, 깊은 대형 싱크홀 예방에는 여전히 한계점이 존재합니다. GPR 탐사 횟수 증가와 장비 확충에 중점을 두고 있어, 근본적인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어렵다는 건데요. 
 
이에 GPR 탐사뿐 아니라 첨단기술 도입을 적극 검토하는 것이 필요해 보입니다. 또 탐사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을 통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시민 안전을 위해 GPR 탐사 결과라도 즉시 공개해야겠죠. 궁극적으로 정부와 지자체는 단순히 하수관 손상에 의한 얕은 싱크홀뿐만 아니라, 더 위험하고 깊은 대형 싱크홀에 대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싱크홀은 더 이상 '시한폭탄'이 아닌, 예측하고 예방할 수 있는 재난이 돼야 합니다.
 
홍연 기자 hongyeon1224@etomato.com

0 0

뉴스통 상단에 노출될 기사를 골라주세요!

마음에 드는 기사의 순위를 올려 뉴스통 상단에 노출되게 하거나, 보고싶지 않은 기사의 순위를 내려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

  • Lv 1 홍연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징검다리가 되겠습니다.
    글 797개
    구독자 38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