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이 기후변화 관련 프로그램을 종료한다고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연준은 은행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기준도 완화할 계획이다.
소식통은 연준이 더이상 JP모건체이스, 씨티그룹, 골드만삭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웰스파고, 모건스탠리 등 6대 은행에 ‘기후 시나리오 분석 훈련’에 대한 자료를 요청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은 지난 2023년 시범적으로 기후 변화 관련 시나리오 분석 프로그램을 도입해 지난해 첫 보고서를 냈다. 이는 기후변화와 관련한 금융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으로 은행 자본이나 감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블룸버그는 연준의 이 같은 결정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취임을 앞두고 지난달 17일 녹색금융을 위한 중앙은행·금융감독기구 간 글로벌 협의체인 녹색금융협의체(NGFS)에서 연준이 탈퇴한 것에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JP모건체이스 등 6개 대형 은행들을 비롯한 월가 금융회사 또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을 전후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글로벌 은행 연합체인 넷제로은행연합(NZBA)에서 탈퇴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 전부터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기후를 연준의 주요 정책 이슈로 생각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블룸버그는 덧붙였다.
전날 연준은 위급 상황을 가정해 은행의 재정적 회복력을 평가하는 스트레스 테스트에 보다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기로 했다. ‘2025년 스트레스 테스트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실업률, 주택가격 등 주요 변수에 대한 가상의 충격 정도를 예년보다 완화했다. 연준은 올해 스트레스 테스트에서 “결과의 변동성을 줄이고 모델 투명성을 개선하기 시작하기 위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 경제매체 CNBC는 “스트레스 테스트의 변화는 미국 대형 은행들이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규제가 완화될 것이란 월가의 주장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고 평했다.
이 영향으로 정규장에서 씨티그룹은 3.61%, JP모건체이스는 2.39%, 골드만 삭스는 1.98%, 모건스탠리는 1.55%, BofA는 1.34% 등 상승 흐름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