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동하기]를 누르시면 상세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지불 코인의 0.2%가 수수료로 소모됩니다.)
결제 비밀번호
中대사관 "방문 취소해야" vs 美대사 "간섭 말아야" (멕시코시티=연합뉴스) 이재림 특파원 = 올해 초부터 파나마 운하를 둘러싸고 공방을 이어온 미국과 중국이 이번엔 파나마 국회의원들의 대만 방문 추진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21일(현지시간) 파나마 외교부 성명과 파나마 주재 미국·중국 대사관 엑스(X·옛 트위터) 등을 보면 파나마 국회의원 10명은 '해운 산업 선진지역 탐방 및 투자 유치 모색'을 위해 조만간 대만을 찾을 예정이다. 이는 대만 의회 친선 교류단 측 공식 초청을 통해 성사된 일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방문단 중 한 명인 베트세라이 리처즈 의원은 현지 일간 라프렌사에 "파나마는 외교 관계와 전략적 동맹이 중요해진 글로벌 환경에서 외부를 향한 문을 닫을 여유가 없다"면서 "대만은 해운 산업과 기술 등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고 있으며, 이는 파나마에도 핵심적 분야"라고 말했다. 역시 방문단에 포함된 에두아르도 가이탄 의원 역시 현지 언론매체에 "예산을 들이지 않고 경제 핵심 분야에 대한 신선한 아이디어를 탐구할 유일무이한 기회"라고 피력했다. 그러나 파나마 주재 중국 대사관은 엑스에 올린 대변인 명의 성명에서 2017년 중국과 파나마 간 수교를 계기로 한 교류 강화 의지를 강조하면서 '하나의 중국' 원칙에 위배되는 상황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8년 전 파나마는 100년 넘게 외교 관계를 이어온 대만과 단교하고 중국의 손을 잡았다. '중국이 엘리트 포섭, 불투명한 대출, 인프라 계약을 통해 지정학적·정치적 입지를 확보하고 파나마와의 수교를 추진했다'는 취지로 최근 공개된 사례 연구에 대해 반박하는 형태로 내놓은 성명에서 중국 대사관 측은 "수교 후 파나마 정부 요청에 따라 우리는 각종 물자를 지원하고 인프라 구축에 힘을 보탰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라프렌사는 중국 측이 의원들의 대만 방문 취소를 직접적으로 요청하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케빈 머리노 카브레라 주파나마 미국 대사는 "타국 내정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면서 중국 측을 비판하고 나섰다. 그는 "파나마에는 민주주의가 존재하며, 국민들이 스스로 결정을 내린다"고도 강조했다고 라프렌사는 전했다. 파나마 정부는 다소 엇갈린 반응을 보인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외교 정책은 행정부 소관으로, 우리 정부는 어떤 관점에서든 분쟁 소지를 내포한 그 여행을 지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반면 파나마 외교부는 별도의 성명을 통해 "주권 국가로서 자국 기관의 합법적 결정을 좌우하려는 제한이나 압력을 수용하지 않는다"면서 주파나마 중국 대사관을 겨냥한 듯한 메시지를 발신했다. 파나마는 1월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전후부터 미·중 간 지정학적 갈등에 휘말려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파나마 운하가 중국 영향력 하에 놓였다"고 주장하면서, 양국 간 조약을 통해 1999년에 넘긴 파나마 운하 통제권을 환수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는 파나마 운하 내 항만 5개 중 2개를 운영하는 홍콩계 업체인 CK허치슨홀딩스를 고려한 발언으로 해석됐는데, CK허치슨은 중국 당국과는 상관없는 민간 기업임에도 미국계 자산운용회사에 운하 운영권을 매각한다는 결정을 내린 바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트럼프 압력'이 매각 추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매각 절차는 중국 정부의 견제와 파나마 정부의 기존 계약에 대한 문제 제기 등으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마음에 드는 기사의 순위를 올려 뉴스통 상단에 노출되게 하거나, 보고싶지 않은 기사의 순위를 내려 노출되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