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제652호] 김문수·한동훈 결선…'변칙' 한덕수는 선착?

공유
652호
2025.04.30(수)
이것만 알아도 오늘 시사 끝!
엊그제 외신에 꽤나 흥미로운 기사가 실렸습니다. 오픈AI CEO 샘 올트먼이 자신의 SNS에 챗GPT의 문제점을 언급한 건데요. 그는 “최근 몇 번의 업데이트를 거치며 AI가 지나치게 아첨하는 성격으로 바뀌었다”고 털어놓으며 “최대한 빠르게 수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챗GPT에 대한 이런 평가는 이전에도 종종 지적됐던 것이지만, 올트먼의 시인은 이례적입니다. AI 업계에서는 챗GPT가 인간과 상호작용을 반복하면서 이런 성향으로 진화(?) 또는 변화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용자의 기대에 부응하려는 경향이 점차 강해졌다는 것이죠. AI의 이런 '변신' 소식을 접하며, 어쩐지 뜨끔한 느낌을 지울 수 없었습니다. 똑똑한 AI에게 인간의 나약한 본성을 들켜버린 것 같은 낭패감이 들어서입니다. 실제로 우리는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고 살아가는 일이 예전보다 훨씬 더 많아졌습니다. AI가 이런 습성을 학습해 ‘아첨 성향’을 띄게 된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입니다. 챗GPT가 아니더라도, 이미 우리 중 상당수는 익숙한 것만 제공하는 유튜브의 알고리즘에 갇혀 살다시피 하고 있으니까요.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다가 나라를 거덜 낼 뻔한 전직 대통령이 그 최악의 사례일 테고요. 모쪼록 그를 반면교사 삼아, 조금이라도 낯설게 보고, 의심해보고, 다른 의견을 두루 들어보려는 노력이 필요한 때인 듯합니다.
• 토마토픽 : 투기성 자산 밈 코인, 정치로 영역 확대?
• 오늘의 주요 뉴스 : 김문수·한동훈, 결선에…한덕수도 '대기'
• 여론 포커스 : 국민 69.9% "직무급제 도입 찬성"
• 프리미엄 레터 : 국힘 ‘시너지 없는’ 3파전…홍준표 쓸쓸한 퇴장
 
투기성 가상자산인 밈(meme) 코인이 정치의 중심으로 들어왔습니다. 한 국가의 수장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로 밈 코인을 활용한 프로젝트를 홍보하는가 하면, 일각에서는 여론조사를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까지 보였는데요. 오늘 토마토Pick에서는 정치권에서 모습을 드러낸 밈 코인과 그에 대한 전문가들의 시선을 정리했습니다. → 기사보기
 
국민의힘 대선 최종 경선이 김문수·한동훈 예비후보의 2파전으로 압축됐습니다. 앞선 1차 경선과 마찬가지로, 결선도 찬탄(탄핵 찬성파·한동훈)파와 반탄(탄핵 반대·김문수)파의 1대 1 구도로 펼쳐질 전망입니다. 국민의힘 대선후보 선출을 위한 마지막 관문에서도 찬탄파와 반탄파의 맞짱 승부가 전개됨에 따라 이들의 승자 여부에 따라 당 노선이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대선 출마 채비에 나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와의 단일화 변수가 여전한 만큼, 국민의힘 최종 후보가 컨벤션효과(정치적 이벤트 이후 지지율이 상승하는 현상)를 누릴지는 미지수입니다. → 기사보기
 
 
가상자산 주요 투자자인 2030과 중도 표심을 얻기 위한 대통령 선거 후보들의 경쟁이 치열한데요. 국민의힘은 당 후보 직속 가상자산특별위원회 설립을 예고했고, 민주당 이재명 캠프도 직속 특위 설립을 앞두고 있습니다. 다만 지난 20대 대선과 22대 총선에서 비슷한 공약이 나왔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던 터라 '공수표'로 끝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나옵니다. → 기사보기
 
 
SK텔레콤 유심 정보 유출로 이용자들의 피로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자 대책들이 우왕좌왕 나왔고, 이용자들은 회사 대책을 신뢰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유심 교체를 최후 보루로 여기고 있지만 물량이 터무니없이 부족합니다. 회사측 과실로 이용자들이 시간을 소모하는 것이 맞느냐는 논쟁도 확산되고 있습니다. → 기사보기
 
대선 출마 카운트다운에 돌입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둘러싼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번엔 헌법재판소법 개정안(대통령 권한대행 헌법재판관 임명 제한법)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건데요. 월권을 했다는 지적이 제기됩니다. 이번 거부권은 사실상 마지막 방탄입니다. 사상 초유의 권한대행 조기 대선 출마가 임박했다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정치권 안팎의 비판 여론은 연일 확산하고 있습니다. → 기사보기
민주당이 검찰 개혁과 기획재정부 개편에 이어 산업통상자원부와 금융당국도 손질에 나설 전망입니다. 산업부는 산업·통상·자원의 세 기능을 쪼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급부상한 통상 문제에 대응하고, 에너지 수급에 초점을 맞춘 기후에너지 부문을 신설한다는 방침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의 경우 금융위원회의 금융 정책 기능을 기재부에서 분리된 재정경제부로 이관하고 금융감독원과 일원화하는 방안이 도마 위에 올랐습니다. → 기사보기
윤석열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과 오세훈 서울시장의 여론조사비 대납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사건의 핵심 인물인 명태균씨와 김영선 전 의원을 29일 동시에 소환했습니다. 명씨는 오 시장에게 유리하도록 여론조사를 조작하고 그 비용을 후원자가 대신 지급했다는 의혹을 받으며, 공천 개입 관련해 김건희 여사와의 관련성도 언급한 바 있는데요. 검찰은 윤석열·김건희 부부로 수사 범위를 넓히며 관련 참고인 조사를 이어가고 있고, 김 여사는 주가조작 의혹으로도 재수사를 받고 있습니다.
→ 기사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가 방한하면서, 국내 주요 재계 인사 가운데 누구와 회동할지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가전과 스마트폰, 반도체 업계는 현재까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면제 대상이지만 향후 전자제품으로 일괄적인 품목별 관세를 붙일 것이란 예고 탓에 불안감이 더 큰 상황입니다. 이에 해당 사업을 주도하는 기업 총수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최태원 SK회장, 구광모 LG회장 등이 트럼프 주니어와 만나 일명 ‘패밀리 로비’ 활동을 통해 트럼프 ‘관세 폭탄’을 둘러싼 한미 통상협상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 기사보기
이는 토마토그룹 여론조사 애플리케이션 <서치통>이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24일부터 29일까지 조사한 결과인데요. 직무급제 도입에 반대하는 비율은 30.1%였습니다. 직무급제 도입에 찬성하는 이유로는 직무 전문성 강화(58.29%),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24%), 업무 생산성 극대화(15.86%) 등의 의견이 나왔습니다. 직무급제 도입 반대 이유로는 임금 격차 심화(48.67%)를 우려하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직원들의 동기부여 한계(34%), 직무 변경 시 대응 어려움(15%)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습니다.  → 기사보기
경기도의회가 민원인 폭언, 폭행 등 위법한 침해에 대응하기 위해 소송을 제기해야 하는 경우 소송 비용을 지원하는 조례 개정을 추진합니다. 기존에는 의원이 법적 분쟁에 휘말려 수사를 받거나 기소, 피소됐을 때만 지원했는데요. 이를 두고 의원의 의정활동 보호를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과도한 지원이라는 비판도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 참여하기
‘이슈 그 이후’를 보는 토마토레터의 관전평!
‘다이나믹 코리아’에선 말도 많고 탈도 많습니다. 수많은 이슈가 ‘핵관’(핵심관계자)의 입에서 말을 통해 명멸합니다. 쏟아지는 말들 중 옥석을 가리고, 말 뒤에 숨은 속내를 간파해 전해드립니다.
국힘 ‘시너지 없는’ 3파전…홍준표 쓸쓸한 퇴장
이재명, 보수-비명계 아우른 통합 선대위 속도

앱 다운로드

TOMATO LETTER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4길 32 이토마토빌딩 4층
mito@etomato.com

© MediaTomato. All rights reserved.

회사소개 제휴제안 개인정보처리방침 고객센터 mito@etomato.com ⓒ MediaTomato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진 4길 32 이토마토빌딩 4층 | 사업자 등록번호 319-88-01051
Google Play
App Store